1. APM 설치.
http://www.apmsetup.com/download.php
- APM 설치가 64비트라서 안될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각각 설치.
http://www.elxis.org/guides/developers-guides/64bit-apache-php-mysql-windows.html
- 아파치는 링크가 깨진 것 같으니 이쪽 링크 활용
https://blackdot.be/download-archive/
위의 www.elxis.org 어쩌고 사이트에 나온 설명대로 차근차근 인스톨을 진행하면 됨. 오타에 주의하고, 슬래시, 큰따옴표 등에 유념할 것. 설치해야 하는 모듈, 아닌 모듈 등도 필요에 따라 구분할 것. (예를 들어, 해당 링크에서 안내하고 있는 버쳘 호스트나 Elxis SEO PRO 등은 우리와 관계가 없으므로 손대지 않고 넘어가도 무방)
bin\httpd.exe -k install
이거 입력 후에 메시지를 자세히 보면, 오타가 있는지 등이 체크가 됨.
![]() |
| 이 사례에서는 179번째 줄에 뭔가 오류가 있다고 나와있는데, 아파치 경로에 단순 오타가 있어서 디렉터리 인식을 못해서 나온 문제였음. 이런 삽질은 집중력이 떨어지면 나타남;; |
뻘팁.
![]() |
| 상태표시줄 체크 온 |
![]() |
| 자동 줄바꿈 체크 오프 |
아파치가 설치 완료된 후,
bin\httpd.exe -k start
이렇게 스타트를 시키면
웹브라우저에서 자기 자신에게 접속해서 동작 여부를 체크할 수 있음.
![]() |
| 자기 자신 = 127.0.0.1 |
- PHP도 링크 서버가 죽었으니 이쪽 링크 활용(구글링 해서 얻은 공식 페이지)
http://windows.php.net/download/#php-5.5-ts-VC11-x64
그런데 이거 설명 페이지에 나와있는 것과 설명이 조금 안 맞는 것이 버전 차이인 것 같으니, 헷갈리면 버전을 설명 페이지의 것과 같은 것으로 하는 게 더 머리가 덜 아플 수도 -_-;
테스트 머신에서는 버전 차이로 인한 것인지, 몇 가지 항목이 아예 없길래 걍 건너뛰었다.
- MySQL은 서버가 가끔 응답을 안 하기도 하니 재시도 필수.
- 받을 때 이런 화면이 나올텐데, 로그인 하지 않아도 밑의 노땡쓰 눌러서 진행.
마이에스큐엘을 더블클릭해서 설치, 서버 온리로 설치해봤다.
암호 지정을 했더니 숫자 네 개는 너무 짧단다 -_-;
기본값이 서비스 모드로 돼 있길래 그것도 그냥 확인하고 넘어갔음.
여기까지 진행하고 PHPMyAdmin으로 피에이치피와 마이에스큐엘의 연동을 설정하려 했더니, 뭘 또 다운받는 걸 권장한단다.
그래서 해당 문서의 gui tools 링크를 눌렀더니, 이런 곳으로 이동된다. 워크벤치로 바뀌었나보다.
해당 문서의 맨 마지막 finish 항목의 내용은, 자기네 소프트웨어를 적용하기 위한 부분이므로, 이 후의 항목은 필요한 게시판 엔진의 설치 설명을 따르자.
2. 게시판 엔진 설치.
- 제로보드XE
다운로드는 여기인데, 최신버전이 없는지 체크.(아마 없을듯;;)
http://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srl=18325662
세팅법은 매뉴얼(pdf 문서 링크) 참조
- 그누보드
http://www.sir.co.kr/bbs/board.php?bo_table=g4_pds&wr_id=
이 중 최신 버전을 검토 후 적용.
그누보드 설치법은 여기에.
3. 멀티카테고리 활성화
- 제로보드
9800원짜리 위젯.
https://www.xemarket.co.kr/index.php?mid=marketiteminfo&act=dispMarketitemDetailListView&item_srl=95570&mode=TV&question_srl=116331&is_notice=N#BOARD-DIV
- 그누보드
무료인 것 같은 스킨이 있음.
http://amina.co.kr/bbs/board.php?bo_table=gnu_skin&wr_id=525
이게 개발자 사이트인 것 같은데, http://mvtv.kr/bbs/board.php?bo_table=down1&wr_id=33 여기가 더 정리가 잘 돼 있는 것 같음. 두 군데 다 참조.
멀티 카테고리는 카테고리 수의 제약이 없는지, 늘리기가 수월한지, 수정할 항목이 얼마나 되는지, 기능구현이 잘 되는지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음.
다른 위젯이나 모듈이나 스킨이 없는지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음.





http://psort.mirror.edu.cn/manual/ko/platform/windows.html
답글삭제